크래프톤 목표주가 및 주가전망
크래프톤 주가 전망
- 기존 ‘배그’ 실적 모바일, PC 모두 유료아이템 판매가 증가되며 꾸준히 증가
- ‘배틀그라운드:뉴스테이트’의 사전예약자수가 2700만명에 달해 기존 글로벌 IP 대작들의 사전예약자수를 크게 상회
- 미국에서의 사전예약자수가 두번째로 많아 ‘뉴스테이트’가 타겟하는 미국 슈팅게임 시장에서 흥행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판단
크래프톤 비상, 엔씨소프트 추락
국내 게임 대장주 자리를 장기간 지켜왔던 엔씨소프트(036570)가 추락하고 있다. 실적 부진과 신작 실패라는 동반 악재 속에서 이틀 만에 시가총액이 4조 원 가까이 증발했다. 새로 게임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는 크래프톤(259960)과의 시총 격차 역시 10조 원까지 벌어졌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는 전 거래일 대비 7.05%(5만 원) 내린 65만 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엔씨소프트는 전날인 지난 26일 하루 만에 15% 이상 급락하며 2000년 상장 이후 사상 최대치의 일간 낙폭을 기록했지만 이날 역시 반등하지 못한 채 큰 폭의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 기간에 엔씨소프트의 시총은 18조 3,755억 원에서 14조 4,677억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단 이틀 만에 3조 9,298억 원이 날아간 것이다.
엔씨소프트의 추락은 신작 ‘블레이드&소울2(블소2)’의 실패와 관계 깊다. 엔씨소프트는 올 들어 시작된 게이머들의 불매운동과 신작 ‘트릭스터M’의 흥행 실패, 그에 따른 2분기 실적 부진 등 연이어 악재가 터지며 지지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그럼에도 증권가는 엔씨소프트에 대해 기대감을 품고 있었다. 올해 최대 기대작으로 꼽히는 ‘블소2’만 흥행한다면 그간의 악재를 딛고 다시 황제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26일 ‘블소2’가 실제로 공개되자 그동안의 기대감마저 사라졌다. 게이머들 사이에서 혹평이 쏟아진 것은 물론 초반 매출 순위 역시 기대 이하로 나타나며 사실상 실패라는 평가가 나온 것이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론칭 직전 시장의 기대 수준은 ‘오딘(카카오게임즈)’을 제치고 1위에 오른 후 한동안 1위를 유지하며 발매 첫 분기 동안 하루 평균 30억 원 중후반의 매출을 올리는 것이었지만 공개 초기 애플 앱스토어 순위는 5~6위에 그치고 있다”며 블소2의 매출 전망치를 대폭 하향하고 목표 주가도 109만 원에서 70만 원으로 내려 잡았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 역시 “올해 엔씨소프트의 남은 카드는 ‘리니지W’밖에 없는 상황에서 향후 주가 반등은 리니지W 흥행 가시화에 달려 있다”며 엔씨소프트의 목표가를 72만 원으로 20.9% 낮췄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게임 대장주로 주목받고 있는 크래프톤에 대한 기대치가 올라가며 엔씨소프트의 추락은 더욱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이날 크래프톤은 전 거래일 대비 5.86% 오른 49만 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10일 상장한 크래프톤은 고평가 논란에 시달리기도 했지만 현재는 공모가(49만 8,000원)을 대부분 회복하며 시총 역시 24조 3,023억 원에 이르고 있다. 엔씨소프트와는 10조 원 가까이 격차를 벌린 셈이다.
크래프톤은 다음 달 말 출시될 예정인 글로벌 신작 ‘뉴스테이트’의 성공 기대감이 커지며 주가가 상승세를 탔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뉴스테이트’는 8월 현재 글로벌 사전예약자 수가 2,800만 명을 돌파하고 있어 오는 9월 말 출시까지 4,000만 명 돌파가 무난해 보인다. 내년 뉴스테이트의 매출액은 하루 평균 61억 원, 연간 2조 2,4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며 크래프톤의 목표가를 72만 원으로 제시했다.
크래프톤 IP 성장
메리츠증권은 27일 크래프톤에 대해 출시를 앞둔 'PUBG:뉴스테이트'의 성공으로 배틀그라운드 IP(지식재산권)의 지속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72만원을 유지했다. 전일 종가는 46만9500원이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022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76.3% 증가한 3조8000억원, 121.2% 늘어난 2조1000억원으로 예상한다"며 "'PUBG 모바일' 매출액은 37.5% YoY 감소한 9165억원, '뉴스테이트' 매출액은 2조2400억원으로 배틀그라운드 이용자 및 수익 기반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뉴스테이트' 성공을 통해 배틀그라운드 IP가 지속 성장할 수 있다는 점과 2022년 '더 칼리스토 프로토콜', 23년 '타이탄' 등 신작 라인업으로 또 한번 도약할 크래프톤에 비중 확대 전략을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PUBG:뉴스테이트'는 이날부터 3일간 '뉴스테이트'는 글로벌 28개국에서 2차 알파테스트를 진행하며 출시가 임박한 상황이다.
김 연구원은 "'뉴스테이트'는 2월 25일 안드로이드 사전예약 시작 이후 8월 중순 2800만명이 등록했으며 19일부터 iOS 사전예약 개시돼 정식 출시 시점에는 약 4000만 이상의 트래픽 유입이 가능한 글로벌 메가 IP"이라며 "2021년 현재 'PUBG 모바일'의 글로벌 DAU(일간이용자수)가 약 5000만명(중국 제외)으로 추산시 상당수 유저가 유입돼 순조로운 출발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높은 수준의 그래픽, 커스텀 키트, 방패, 드론 상점 등 새로운 컨텐츠에 기반해 수익모델의 고도화가 기대된다"며 "2022년 '뉴스테이트' 매출액은 2조2400억원, 일평균 61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10일 상장한 크래프톤은 현 주가(26일 기준)는 공모가(49만8000원) 대비 5.7% 낮은 수준이다.
크래프톤 2분기 실적
최근 IPO를 마치고 상장한 크래프톤 또한 실적이 공시됐다. 2021년 2분기 연결기준 잠정 공시된 크래프톤의 매출은 4593억 원, 영업이익은 1742억 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 매출은 약 7%가량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0.34% 감소하면서 준수한 성적을 냈다. 전 분기 대비로는 감소했지만, 이는 M&A와 인력 채용 및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 서비스를 위한 영업비용 증가에 따른 것이다.
크래프톤은 개발직군의 연봉을 일괄 2천만 원 인상하는 등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면서 인력 채용에 나선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공모가 고액 논란 등 상장 전 잡음이 다소 있었으나, 상장 이후 기존 '게임 대장주'였던 엔씨소프트를 넘어서는 시가 총액을 기록하는 등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하반기에는 신작 '배틀그라운드: NEW STATE'를 통해 모바일 슈팅 게임 강자의 입지를 다시 다지는 한편, 인도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을 통해 견조한 성장을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크래프톤 목표주가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25일 크래프톤 (497,000원 상승27500 5.9%)에 대한 분석을 개시하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가 58만원을 각각 제시했다. 또 신작 뉴스테이트가 높은 흥행 가능성이 있는 데다 크래프톤의 주력인 배틀로얄 부문이 안정적 매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 등을 높게 평가했다. 전일 종가 기준 46만원이었던 주가는 이날 오전 9시30분 현재 46만9500원(+2.07%)를 기록 중이다.
정호윤 연구원은 "크래프톤 목표가 산정은 뉴스테이트 및 칼리스토 프로토콜 등 신작 매출이 온전히 반영되는 2022년 예상 순이익 1조1400억원에 PER(주가이익비율 ) 25배를 적용해 산출한 것"이라며 "2022년 뉴스테이트 매출은 1조3200억원(일평균 36억원)으로,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1450억원으로 추정했다"고 했다.
정 연구원은 "핵심 투자 포인트는 뉴스테이트 출시"라며 "신작 출시가 없는 크래프톤의 영업이익은 6000억~7000억원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존재하지만 뉴스테이트가 흥행에 성공할 경우 단번에 1조원 이상의 매출이 더해지고 기업가치 상승 여력이 커진다"고 했다.
또 "사전 예약자 수와 배틀그라운드 IP(지적재산권) 인지도 등을 감안할 때 신작 흥행 가능성은 높다"고 했다.
그는 "배틀로얄 장르와 같은 '플레이 투 윈'(Play to win) 게임은 '페이 투 윈'(Pay to win) 게임 대비 매출 안정성이 높다"며 "크래프톤의 펍지 모바일 및 화평정영은 출시 이후 안정된 매출 흐름을 보이고 있고 뉴스테이트도 유사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어 "크래프톤의 2022년 실적은 뉴스테이트 성공과 함께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